🛹 목표
목표 | 난이도 | 달성 여부 |
IT 관련 글 읽기 | 😘 | ✔️ |
패스트 캠퍼스 강의 듣기 |
😘 | ✔️ |
알고리즘 문제풀이 | 🥺 | ✔️ |
📋 공부 내용 & 기록
1. IT 관련 글 읽기<git squash&merge와 rebase 알기>
- squash & merge : 병합할 때 여러 개의 커밋을 하나의 커밋으로 합친 후 merge하는 방식
- rebase : 커밋의 시간에 관계없이 마지막에 merge 되는 branch의 커밋을 가장 뒤에 붙이는 방식
2. 패스트 캠퍼스 강의 듣기<어드민 서비스, 도메인 설계 파트>
- 회원의 엔티티 중 권한을 Set 자료형을 사용하여 엔티티에 추가하였다. JPA의 ORM(Oriented Relational Mapping) 기술 표준으로는 회원 엔티티에 원시 자료형이 아닌 Set 자료형이 들어갈 수 없다. 해당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권한만 가진 테이블을 새로 만드는 방법이 있겠지만 그렇게 하지 않고, 스프링의 @Convert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해결하였다.
- 회원 테이블에는 String 형식으로 권한을 저장하고, 서버에서 불러올 때 Set 자료형으로 자동 매핑시켜서 사용하게 한다.
3. 알고리즘 문제풀이<택배 배달과 수거하기>
어제부터 해결하려고 한 문제를 결국 누군가 올려준 힌트를 보고 풀었다. 시간복잡도를 확실히 줄일 수 있었다.
🏷️ 하루 정리 & 느낀 점
더욱 분발하자..
📌 내일 해야할 일
- 스프링 시큐리티 부분 추가 공부하기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🌱 2023.03.20 - Objects.requireNonNull() (0) | 2023.03.20 |
---|---|
[TIL] 🌱 2023.03.16 - 빌더 패턴 (0) | 2023.03.16 |
[TIL] 🌱 2023.03.15 - 뷰 엔드포인트 테스트 정의 (0) | 2023.03.15 |
[TIL] 🌱 2023.03.13 - Spring Security (0) | 2023.03.13 |
[TIL] 🌱 2023.03.08 - Thymeleaf의 Decoupled Logic (1) | 2023.03.09 |